카테고리 없음

프로그래밍 C언어 (2)

김프로722 2024. 5. 22. 17:16
반응형

1. 형변환

-> 변수에 서로 다른 자료 값을 대입하려고 하면 일어나는 것!.

-> int는 정수형 변수인데 3.14라는 실수형 자료를 대입했다 또 반대로 float는 실수형 변수인데 10이라는 정수를 대입했다

결과는 a = 3 , b = 10.00000 이라고 나올 것이다. 이와 같이 변수에 따라 값이 변하는 것을 알 수 있다.

2. 강제 형 변환

-> 그림과 같이 sum이 원래는 정수형 변수인데 만약 앞에 double을 붙이지 않으면 sum/3의 값이 정수가 나올 것이고

그것이 다시 double avg로 들어가서 실수로 변하게 된다. 그 결과 93.0000이라는 값이 나올 것이다.

따라서 위 그림과 같이 강제로 형 변환을 통해서 실수로 바꿔주고 나눠지면 93.66''''이라는 값이 나올 것이다.​

​-> 위와 관련하여 매우 중요한 사실은 ★★★★★★

정수 / 정수 -> 정수

실수 / 정수 -> 실수

정수 / 실수 -> 실수

실수 / 실수 -> 실수

하나라도 실수가 있으면 실수가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.

3. char 형과 ASCII코드 (어려울 수 있음)

-> '2' + '3'의 값은 무엇일까? 2 + 3과는 분명 차이가 있다. 문자와 문자를 더한다는 것은 문자의 ASCII코드 값을 더한다는 것을 알아야한다.

-> ASCII 테이블 ‘2’ = 50, ‘3’ = 51 이므로 ‘2’+’3’ = 101 따라서 101에 해당하는 문자는 ‘e’ 이다

아스키 코드 값에서 외워야하는 것이다.

decimal hex char

48 30 0

65 41 A

97 61 a

-> 위에 것만 알아두면 규칙이 있으니까 찾으면 된다.

​ ※참고

4. 복합대입연산자 ★★★★★★

-> 위 a = a+3 과같은 말을 좀 더 간단하게 나타낼 수 있다 그것을 복합 대입 연산자라고 한다. a+= 3 의 형식으로 나타내는데

a가 없어지고 =와 + 자리가 바뀐다고 생각하면 편하다.

* 복합연산자는 띄어쓰기가 안된다.

5. 증감연산자

-> 증감 연산자는 전치 증가연산자 후치 증가연산자가 있다. 전치 증가 연산자는 ++a처럼 변수 앞에 연산자를 쓴다. 이때 b= ++라고 쓰면 a가 1증 가한 후 증가된 값이 b에 들어간다. 후치증가연산은 a++; 처럼 변수 뒤에 연산자를 씁니다. b= a++; 라고 쓰면 a의 값이 b에 대입된 후 , a가 1 증 가합니다.

*정리

++a는 a 값을 증가시키고 나서 처리하는 것

a++는 a 값을 처리하고 나서 증가시키는 것

6. 비교연산자와 진릿값

-> 컴퓨터는 참은 1을 거짓은 0을 사용한다.

* 참고

비교 연산의 결과는 참(1)/거짓(0)

C에는 int, char에 값을 저장

C++에는 bool 형에 저장

6. 비교연산자와 진릿값

* 참고

&& à AND 연산자

|| à OR 연산자

! à NOT 연산자

7. 연산자 우선순위

->c도 사칙연산과 그외 다양한 연산이 있는데 이 연산에는 우선순위가 있다.

우선 순위를 나타내는 숫자가 작을수록 높고 우선순위이다.

만약 헷갈리면 괄호()를 써서 우선순위를 나타낸다.

7. scanf 사용하기★★★★

-> 출력을 할때는 printf를 쓰는 것처럼 입력을 할 때는 scanf를 쓴다

-> 변수 이름 앞에 & 기호가 붙는 것을 주의해야한다.

-> 형식은 scanf("%d %d ", &a, &b);이다

<실습 : 새롭게 배우는 것>

​-> 논리연산자와 비교연산자가 같이 사용될때 비교 연산자가 먼저 사용된다.

-> 전치증가연산 a가 1증가한 후 증가된 값이 b에 들어간다.

후치증가연산은 a​ 의 값이 b에 대입된 후 a가 들어간다.

* 내가 생각하는 중요한 부분 한줄요약!

1. 형변환은 강제로 일어날 수도 있다.

2. 형변환을 하고 싶으면 하고 싶은 값 앞에 괄호를 쓰고 바꾸고 싶은 자료형을 넣으면 된다.

3. 정수 / 정수 -> 정수

실수 / 정수 -> 실수

정수 / 실수 -> 실수

실수 / 실수 -> 실수 이다

4. 아스키코드에서 출력할때 %c를 쓰냐 %d를 쓰냐에 따라 문자형태로 출력되는지 숫자형태로 출력되는지에 따라 결정된다.

5. 증감연산자는 정수형 변수를 1증가 또는 감소시킬때 ++와 --라는 특화된 연산자를 쓴다.

6. 증감연산자에는 전치증가연산자 , 후치증가연산이 있다.

7. 컴퓨터에는 참을 1 거짓을 0으로 표현한다

8. scanf는 변수 이름 앞에 &기호가 붙는다.

9. scanf를 사용할 때 안나오면 scanf_s를 써야한다.

반응형